성남시의회, 제305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발언 (성해련 의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09-12 19:09본문

장애인 밥상은 생존이며 선택이 아닌 필수 입니다
존경하는 성남시민 여러분,
시민의 알 권리를 위해 애쓰시는 언론인 여러분,
안광림부 의장님을 비롯한 선배·동료 의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더불어민주당 성해련 의원입니다.
‘장애인 밥상은 생존이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오늘 저는 우리가 쉽게 지나칠 수 있는 ‘한 끼의 무게’,
바로 성남시 장애인 식생활 지원에 대한 정책을
제안하고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
2025년 2월 기준, 성남시에는 35,500여명의 등록 장애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그중 13,100여명이 중증장애 정도에 해당합니다.
이들 중 상당수가 스스로 식사를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이는 식생활과 영양 관리 분야가 뚜렷한 빈틈을 보이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흔히 “밥심으로 산다”라고 말하곤 합니다.
그러나 몇몇의 장애인분들에게는 그 ‘밥심’조차
스스로 준비하기 벅찬게 현실입니다.
실제 조사에 따르면 68.9%의 복지 실무자가
장애인의 식생활 상태를 ‘나쁘다’에 평가 했으며,
절반 이상이 식사 준비가 타인의 도움 없이는 어렵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영양 정보 부족’, ‘경제적 어려움’, ‘신체적 제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우리는 흔히 “밥심으로 산다”라고 말하곤 합니다.
그러나 몇몇의 장애인분들에게는 그 ‘밥심’조차
스스로 준비하기 벅찬게 현실입니다.
실제 조사에 따르면 68.9%의 복지 실무자가
장애인의 식생활 상태를 ‘나쁘다’에 평가 했으며,
절반 이상이 식사 준비가 타인의 도움 없이는 어렵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영양 정보 부족’, ‘경제적 어려움’, ‘신체적 제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실무자의 97%가 식생활 지원 제도의 필요성을 지적했습니다.
존경하는 시민 여러분
이 자리에 함께하고계시는 선배, 동료의원여러분 공직자 여러분!!!
장애인에게 따뜻한 밥 한 끼는 단순한 음식이 아닙니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을 잇는 연결이며,
오늘을 견디는 힘이자 내일을 살아갈 의지입니다.
그리고
‘포기하지 않을 이유’가 되어주는 작지만 가장 큰 위로입니다.
이에 식생활 지원은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삶을 지켜주는 복지 그 이상입니다.
저는 성남시가 다음과 같은 정책을 서둘러 도입해야 한다고 강력히 제안합니다.
첫째, 맞춤형 식생활 지원 서비스 신설입니다.
재가 장애인을 대상으로 당뇨식·저염식·연하식 등 건강 상태와
특성에 맞는 맞춤형 도시락·밑반찬 제공 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끼니 해결을 넘어, 장애인의 건강을 지키는 핵심 수단입니다.
둘째, 영양 상담과 식생활 교육 병행입니다.
영양사와 연계한 정기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개인별
영양 상태를 점검하고 자립적 건강관리 능력을 높여야 합니다.
셋째, 지원 대상 확대와 접근성 강화입니다.
복지시설 등 식사배달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도,
지원 대상과 예산 문제로 한계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상자가 언제 식사 배달을 받을 수 있을지
모르는 상태로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기도 합니다.
이에 장애인 가정 식사 배달 서비스를 확장 등의 방법으로
서비스를 확대해야 합니다.
특히 은둔형 장애인 등 제도 밖에 놓여 있는 분들도 놓치지 않도록
존경하는 시민 여러분
이 자리에 함께하고계시는 선배, 동료의원여러분 공직자 여러분!!!
장애인에게 따뜻한 밥 한 끼는 단순한 음식이 아닙니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을 잇는 연결이며,
오늘을 견디는 힘이자 내일을 살아갈 의지입니다.
그리고
‘포기하지 않을 이유’가 되어주는 작지만 가장 큰 위로입니다.
이에 식생활 지원은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삶을 지켜주는 복지 그 이상입니다.
저는 성남시가 다음과 같은 정책을 서둘러 도입해야 한다고 강력히 제안합니다.
첫째, 맞춤형 식생활 지원 서비스 신설입니다.
재가 장애인을 대상으로 당뇨식·저염식·연하식 등 건강 상태와
특성에 맞는 맞춤형 도시락·밑반찬 제공 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끼니 해결을 넘어, 장애인의 건강을 지키는 핵심 수단입니다.
둘째, 영양 상담과 식생활 교육 병행입니다.
영양사와 연계한 정기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개인별
영양 상태를 점검하고 자립적 건강관리 능력을 높여야 합니다.
셋째, 지원 대상 확대와 접근성 강화입니다.
복지시설 등 식사배달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도,
지원 대상과 예산 문제로 한계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상자가 언제 식사 배달을 받을 수 있을지
모르는 상태로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기도 합니다.
이에 장애인 가정 식사 배달 서비스를 확장 등의 방법으로
서비스를 확대해야 합니다.
특히 은둔형 장애인 등 제도 밖에 놓여 있는 분들도 놓치지 않도록
현장 중심 발굴 체계를 강화하여 사회 접근성을 강화해야 합니다.
존경하는 동료 의원 여러분,
장애인의 밥상은 단순히 끼니가 아닙니다.
그것은 건강권, 사회권 더 나아가 생명권을 지키는 복지이자,
공동체가 함께하는
성남시의 품격입니다.
‘명품도시 성남’, ‘웃는도시 성남’ 등 성남에 특별한 수식어를 붙이기 전에
존경하는 동료 의원 여러분,
장애인의 밥상은 단순히 끼니가 아닙니다.
그것은 건강권, 사회권 더 나아가 생명권을 지키는 복지이자,
공동체가 함께하는
성남시의 품격입니다.
‘명품도시 성남’, ‘웃는도시 성남’ 등 성남에 특별한 수식어를 붙이기 전에
‘의식주’라는 가장 기본적인 것부터 지켜지는
‘기본적인 성남’이 만들어지기를 바랍니다.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기본적인 성남’이 만들어지기를 바랍니다.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