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경기도 노인, 베이비부머 세대 유입으로 학력·소득 높아져. “정책 세분화 필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01-22 11:43본문
경기도 노인의 학력과 소득 수준이 3년 전보다 높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는 베이비부머 유입에 따른 것으로 보고, 베이버부머 노인과 상대적으로 취약한 80대 이상 고연령 노인과 독거노인을 고려한 정책 세분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경기도는 20일 ‘2024년 경기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21년도 최초 조사 후 3년 주기로 실시된 두 번째로 실시한 것이다. 경기도와 경기복지재단이 한국갤럽과 함께 2024년 8~9월 경기도 거주 65세 이상 도민 3,599명을 대상으로, 표본으로 추출된 노인가구를 전문조사원이 방문해 대면 면접하는 방식으로 실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별은 여성(55.0%)이 남성(45.0%)보다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65~69세가 40.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70~74세(20.8%), 75~79세(16.1%), 80~84세(13.4%), 85세 이상(9.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021년도 조사에서 65~69세(34.9%), 70~74세(24.1%), 75~79세(18.1%), 80~84세(13.0%), 85세 이상(9.9%) 순으로 나타난 것과 비교할 때 65~69세 비중이 5.8%p 증가한 것이다. 1995년 이후 출생자가 2021년부터 65세 이상이 되는 등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생)가 본격적으로 노인집단이 됐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통계상 경기도 인구(2024년 12월 말 기준)를 봐도 65~69세 비중이 37.5%다.
이처럼 노인 비중에서 상대적으로 젊은 65~69세 노인의 비중이 커지면서 평균 학력과 소득도 높아졌다. 고졸 이상의 학력은 2021년도 44.2%에서 2024년도 53.1%로 증가했으며, 월평균 소득 100만~300만 원 구간도 2021년도 51.7%에서 2024년도 56.7%로 증가했다. 가구형태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노인부부가구 비중이 2021년도 49.8%에서 2024년도 62.7%로 증가했다.
최근 노인연령 상향에 대한 논의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 노인이 스스로 생각하는 노인연령 기준은 평균 71.8세로 조사됐다. 구간별로는 70~75세 미만(45.8%)이 가장 많았다.
경기도 노인은 본인의 경제적 생활수준을 ‘중(45.2%)’ 또는 ‘중하(41.9%)’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0.8%)’ 또는 ‘중상(3.9%)’은 4.7%에 불과했다.
현재 취업상태를 묻는 질문에는 ‘취업 중’이 45.2%로 나타났으며, 일하는 이유는 ‘생계비 마련(79.4%)’, ‘용돈 마련(11.7%)’, ‘건강 유지(5.3%)’ 순으로 분석됐다. 특히 ‘생계비 마련’은 2021년도 조사 결과(68.7%)보다 10.7%p 상승했다. 일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은 ‘낮은 급여(61.7%)’, ‘나이에 대한 편견(54.9%)’ 순으로 응답했다.
노후 생활비 마련에 대해서는 ‘본인 스스로(40.9%)’ 한다고 응답한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본인과 사회보장(34.5%)’, ‘사회보장(16.3%)’ 순이었다. 2021년도 조사에서는 ‘본인과 사회보장(31.0%)’, ‘사회보장(29.1%)’, ‘본인 스스로 마련(28.5%)’ 순이었던 것과 달라진 결과다. 특히 ‘본인 스스로 마련’한다는 비율이 2021년도 대비 12.4%p 상승한 것이 눈에 띈다.
나이로 인한 차별을 경험한 비율은 13.2%로 나타났으며, 차별을 경험하는 장소는 생활장소인 식당·커피숍(33.8%)의 비중이 높았고, 대중교통(18.0%) 및 일터(15.8%)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 및 주거환경 영역에서 경기도 노인은 건강 유지 시에는 72.4%가, 거동이 불편할 때는 53.9%가 현재 살고 있는 집에서 여생을 보내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1년도 결과(65.2%, 41.9%)보다 상승한 수치로, 지역사회 지속거주(Aging in Place)에 대한 욕구가 확인됐다.
건강상태 영역에서 희망하는 간병서비스 지원 방법 및 적정 지원금액을 묻는 질문에는 ‘직접 현금지원(61.2%)’으로 ‘연 100만~150만 원 미만(34.5%)’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노인의 85.8%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2021년도 조사 결과(61.1%)보다 24.7%p 증가한 수치다. 컴퓨터는 15.1%, (인터넷 안 되는) 휴대폰은 14.6%가 보유하고 있었다. 희망하는 정보화교육으로는 문자·누리소통망(SNS) 등 스마트폰 기초활용교육(14.9%)을 가장 많이 꼽았다.
우선적으로 확대해야 할 노인복지정책으로 ‘노인 빈곤 완화 정책(44.7%)’, ‘노인 건강 정책(18.5%)’, ‘노인 돌봄·요양 정책(12.2%)’, ‘치매 관련 정책(11.8%)’, ‘노인일자리 정책(7.9%)’, ‘기타(4.9%)’ 순으로 선택했다. 기타에는 여가, 주거, 사회참여 지원 정책 등이 있다.
정책연구보고서는 경기복지재단 누리집(www.ggwf.gg.go.kr)에 공개되며, 정책개발 및 학술연구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김하나 경기도 복지국장은 “경기도 노인의 인식과 생활의 변화를 명확히 보여줬다.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인집단 유입이 본격화되며 전체적인 노인의 일반사항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80세 이상 고연령 노인과 노인독거 가구는 여전히 취약집단으로 존재함에 따라 노인복지정책의 변화 및 세분화가 요구되고 있다”며 “향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세심한 제도적 지원과 서비스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이전글경기도, 지난해 지방도 용지관련 소송 23건 원만해결 25.01.22
- 다음글경기도,“병원동행으로 삶에 희망을 갖게 되었습니다” 경기도 1인가구 지원사업 우수 사례집 첫 발간 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