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도 청년여성 미취업자 지원 확대 필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0-09-01 07:21본문
경기도내 미취업 청년여성의 구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연령대별 특성과 수요에 맞춘 촘촘한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는 제안이다.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은 최근 도 청년여성 미취업자의 규모와 특성을 분석하고 지원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현안 보고서 ‘경기도 청년여성 미취업자 규모추정 및 현황 분석’을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34세 도 청년여성인구 131만 3천명 가운데 취업자는 77만 1천명, 미취업자는 54만 3천명으로 나타났다. 미취업자는 실업자, 잠재취업가능자, 잠재구직자, 비경제활동 인구가 포함된다. (2019년 기준)
도 청년(19-34세) 실업자는 15만 4천명이며, 이중 여성이 6만 8천명으로 전체의 44.1%를 차지했다. 청년여성 실업자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19-24세가 2만 9천명(42.8%), 25-29세가 3만명(43.7%), 30-34세가 9천명(13.5%)로 나타났다. 남성 실업자와 비교할 때, 여성 실업자는 20대 초반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도 청년여성(19-34세) 잠재경제활동인구는 7만8천명(잠재취업가능자 8천명, 잠재구직자 7만명)이다. 실업자는 청년남성이 청년여성보다 많았으며, 잠재경제활동인구는 청년여성이 청년남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청년여성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미취업자 취업 지원도 중요하지만, 노동시간, 임금, 고용안정 등 청년여성이 일하고 있는 일자리 질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지역일자리 장시간 노동문제, 저임금과 성별임금격차 문제,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연구책임자인 정형옥 선임연구위원은 “도 청년여성 취업지원 정책을 추진할 때 실업자 뿐만 아니라 잠재경제활동인구도 고려해야 한다”면서 “지역 청년여성 일자리를 발굴하고 연계하는 취업 알선의 공공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성 평등한 채용문화 확산, 경력단절 예방 및 재취업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